미국 직구 vs 유럽 직구, FTA 관세 혜택으로 '세금 0원' 만드는 법

안녕하세요! BlogNa 입니다.
해외직구를 하다 보면 평소 갖고 싶던 옷이나 신발이 면세 한도를 살짝 넘어서 아쉽게 구매를 포기했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150이나 $200을 넘으면 무조건 세금을 내야 한다는 생각에 장바구니 앞에서 늘 작아지곤 했습니다.
하지만 만약, 면세 한도를 훌쩍 넘는 $300짜리 코트를 사도 관세를 단 한 푼도 내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어떨까요?
마법 같은 이야기 같지만, 'FTA 협정'이라는 똑똑한 제도를 활용하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랍니다. 오늘은 미국, 유럽, 그리고 영국 직구 시에 잠자고 있는 나의 권리를 찾아 '세금 0원'을 만드는 비밀을 알려드릴게요.
관세는 왜 내고, FTA는 대체 뭔가요?
먼저 아주 기본적인 개념부터 짚고 넘어갈게요. 우리가 해외직구로 물건을 살 때, 일정 금액을 넘으면 '관세'라는 세금이 붙습니다.
이는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수입 장벽이죠. 보통 의류는 13%, 신발은 8% 정도의 관세가 부과되는데, 여기에 부가세 10%까지 더해지면 생각보다 큰 금액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 즉 FTA(Free Trade Agreement)를 맺은 국가의 제품에 대해서는 이 '관세'를 면제해주는 혜택이 있습니다. "우리 서로 친하게 지내기로 약속했으니, 우리 국민이 너희 나라 제품 살 때는 관세를 붙이지 않을게!" 하는 약속이죠.
바로 이 FTA 혜택을 이용하면, 우리가 흔히 아는 기본 면세 한도($150 또는 미국 $200)를 넘더라도 관세를 '0원'으로 만들 수 있는 거랍니다.
미국 직구 FTA: 'Made in USA'를 확인하세요
미국과의 한-미 FTA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은 아주 명확합니다.
바로 구매하려는 제품이 '미국에서 생산된(Made in USA)' 제품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미국 쇼핑몰에서 샀다고 해서 모두 해당하는 것이 절대 아니에요.
대부분의 글로벌 브랜드는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이나 베트남 등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매 전 상세 페이지에서 'Origin' 또는 'Made in' 정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미국 FTA 혜택 신청 방법 ($1,000 이하)
다행히 개인이 직구하는 대부분의 경우인 1,000달러 이하 물품은 아주 간단하게 FTA 혜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원산지 증명서(C/O) 없이, 배송대행지(배대지) 신청서나 인보이스(송장)에 아래와 같은 문구를 판매자가 적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Made in U.S.A
보통 배대지 신청서 작성 시 'FTA 협정 적용' 옵션을 선택하고, 'Made in USA' 문구를 요청하는 기능이 있으니 꼭 활용해보세요.
[내부자의 조언]
가장 큰 함정은 '미국 브랜드 = 미국산'이라는 착각입니다. 예를 들어, 나이키, 폴로 랄프로렌, 코치 같은 유명 미국 브랜드 제품이라도 대부분은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 등 제3국에서 생산됩니다. 미국 쇼핑몰에서 샀더라도, 제품 택에 'Made in China'라고 적혀 있다면 절대 한-미 FTA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쇼핑몰이 아닌, '제품 자체의 원산지'가 핵심이라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마세요.
유럽/영국 직구 FTA: 문구 하나로 끝내기
유럽, 그리고 브렉시트 이후 별도의 FTA를 맺은 영국 역시 조건은 같습니다. 구매하려는 제품이 EU 회원국(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또는 영국 내에서 생산된 제품이어야 하죠.
신청 방법은 미국보다 조금 더 구체적인 문구가 필요하지만, 정해진 문구 하나만 인보이스에 기재되면 원산지 증명이 완료되어 훨씬 편리합니다.
한-EU FTA 혜택 신청 방법 (6,000유로 이하)
유럽 쇼핑몰에서 주문할 때, 인보이스(Invoice)에 아래의 '원산지 신고 문구'를 적어달라고 요청해야 합니다.
[영문]
The exporter of the products covered by this document declares that, except where otherwise clearly indicated, these products are of EU preferential origin.
[독일어] (독일 쇼핑몰 이용 시)
Der Ausführer (Ermächtigter Ausführer; Bewilligungs-Nr. ... ) der Waren, auf die sich dieses Handelspapier bezieht, erklärt, dass diese Waren, soweit nicht anders angegeben, zollbegünstigte EU-Ursprungswaren sind.
한-영 FTA 혜택 신청 방법 (6,000유로 이하)
영국 쇼핑몰에서 주문하는 경우, EU와는 다른 아래의 영국 전용 문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영문]
The exporter of the products covered by this document declares that, except where otherwise clearly indicated, these products are of United Kingdom preferential origin.
이 문구 하나만 있으면, $150을 훌쩍 넘는 500유로짜리 명품 지갑을 사더라도 관세 8%가 면제되어 약 5만 원 이상을 아낄 수 있게 되는 셈입니다.
미국 vs 유럽/영국 FTA 혜택 한눈에 비교하기
구분 | 미국 (한-미 FTA) | 유럽/영국 (한-EU/영 FTA) |
---|---|---|
핵심 조건 | 제품이 'Made in USA' | 제품이 EU 회원국 또는 영국 내에서 생산 |
간편 신청 기준 | 물품 가격 $1,000 이하 | 물품 가격 6,000유로 이하 |
필요 서류/문구 | 인보이스에 'Made in USA' 기재 | 인보이스에 각 협정별 '원산지 신고 문구' 기재 |
주의사항 | 미국 브랜드 ≠ 미국산. 실제 원산지 확인 필수 | 판매자에게 반드시 정확한 원산지 신고 문구 기재 요청 |
결론적으로, 면세 한도를 넘는 제품을 구매할 때는 반드시 제품의 '원산지'를 확인하고, 각 FTA 협정에 맞는 문구를 인보이스에 기재해달라고 요청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작은 노력 하나가 당신의 지갑을 훨씬 두껍게 만들어 줄 거예요.
미국 유럽 직구 FTA 핵심 요약 및 FAQ
핵심 내용 3줄 요약
- 미국, EU, 영국에서 생산된 제품은 FTA 협정에 따라 기본 면세 한도를 초과해도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 $1,000 이하 미국산 제품은 'Made in USA', 6,000유로 이하 유럽/영국산 제품은 각 협정에 맞는 '원산지 신고 문구'를 인보이스에 기재하면 됩니다.
- FTA는 '관세'만 면제해주는 제도로, 면세 한도를 넘었다면 '부가세 10%'는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FTA로 관세가 면제되면, 부가세 10%도 안 내나요?
A. 아닙니다. FTA 협정은 '관세'에 대해서만 면제 혜택을 주는 제도입니다. 수입 장벽의 성격인 관세와 달리, 부가세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물품에 부과되는 '소비세'의 성격이기 때문에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 즉, 물품 가격이 면세 한도를 초과했다면 관세는 0원이 되더라도 상품 가격에 대한 '부가세 10%'는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관세를 면제받는 것만으로도 매우 큰 절약 효과가 있습니다.
Q. 아마존에서 주문했는데, 판매자가 여러 명이면 어떻게 하죠?
A. 좋은 질문입니다. 아마존처럼 오픈마켓 형태의 쇼핑몰에서는 각기 다른 판매자가 보낸 물건이 묶음 배송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FTA 혜택을 받고자 하는 '미국산' 또는 '유럽산' 제품에 대해서만 개별적으로 원산지 문구를 요청하고, 배대지 신청서에도 해당 제품만 FTA 적용 신청을 해야 정확하게 처리됩니다.
Q. 원산지 문구 요청하는 걸 깜빡했는데, 나중에 신청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이를 '협정관세 사후적용'이라고 합니다. 이미 물건을 받고 세금을 납부했더라도, 수입신고 수리일로부터 1년 이내에 판매자로부터 원산지 증명 정보를 받아 세관에 제출하면 납부했던 관세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절차가 다소 번거로울 수 있으니, 구매 단계에서 미리 챙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관세청 FTA 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직구 관부가세에 대한 더 넓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우리의 해외직구 관부가세: 이 글 하나로 ‘호구’ 탈출은 물론 환급까지 끝냅니다 (A to Z 완벽 가이드)를 확인해보세요!